# Define
S = 주어
V = 동사 ( 현재 시제 )
- Vp : 과거 시제
R = 동사 원형
pp = 과거분사
절 : 두개 이상의 단어가 주어+동사의 관계로 품사역할을 하는 것입니다.
주절 : 핵심 절입니다. 혼자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어 그자체로 하나의 문장이 되죠.
종속절 : 주절처럼 주어와 동사를 가지고 있지만 그 의미가 완결되지 않아 하나의 문장이 되지 못하고
다른 문장에 속하는 것입니다.
대과거 : 영어에서 과거보다 더 과거를 가정하여 쓰는 말이다.
make a goal : 득점하다 , 골을 넣다.
* 가정법 *
가정법은 가정하는데 사용하는 영문법칙이라 보시면 됩니다.
사실 영어에서 가정을 할때는 특이한 면이 많은데요.
그 점이 영어가 어렵게 느껴지게 합니다.
일단 일반적인 가정법의 유형들을 먼저 보겠습니다.
[1] ~한다면 ~할 것이다.
' ~할 것이다'를 보면 현재 혹은 미래에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것에 대한 가정입니다.
영문법에선 ' 가정법 현재 ' 라고 하죠.
If S + V ~ , S will(미래)/can(현재) R ~
사실 가정법 현재는 어려울건 없습니다.
해석대로 가기 때문이죠.
조동사가 쓰이기 때문에 앞 주어에 상관없이 동사원형을 써준다는거 말고는 말할게 없네요.
>> If I have a lot of money, I will buy an gorgeous RC car.
.. 만약 내가 돈이 많다면 , 난 간지나는 RC카를 살 것이다.
[2] ~한다면 ~할 텐데 ...
'~할 텐데'가 주로 사용되는 상황을 떠올려보자면 ,
실현가능성이 희박한일이거나 현재 못하지만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히고 싶을때 쓰지요.
영문법에선 ' 가정법 과거 ' 라 하는데요.
If S + Vp/were ~ , S would/could R ~
봐두셔야 될 점은 해석상에선 "현재"못한다고 했는데 과거 시제를 쓰고 있다는 겁니다.
이처럼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에서는 주절의 시제가 한시제 앞로 갑니다.
또 was를 쓰지 않습니다. 주어가 몇인칭이든 간에 무조건 were을 써줍니다.
>> If I were adult, I would have credit card.
.. 만약 내가 성인 이라면 , 난 카드를 가지고 있을 것이다.
[3] ~했다면 ~했을 텐데 ...
'~했을 텐데'로 보아 현재 주어가 자신이 대과거에 실현하지 못한 일에 의해
좌절된 과거에 상황을 아쉬워 하는 겁니다.
영문법에선 ' 가정법 과거완료 '라고 하는데요.
If S + had pp ~ , S would/could have pp ~
과거완료 ( had pp )를 대과거라 보셔도 무방합니다.
[2]번에서 설명했듯이 주절에 시제가 과거가 아닌 대과거죠.
had pp지만 조동사가 앞에 있기 때문에 동사원형을 쓰면서 현재완료처럼 보이는 겁니다.
>> If I had made a goal, I would have got more high score on P.E. test
.. 내가 그때 골을 넣었다면 , 체육 수행평가가 더 높았을텐데 말이지.
[4] 그외
* 가정법 미래 ( ~한다면 ~할 것이다. )
가정법 미래는 앞에 가정법 과거와 과거완료가 동사시제에 따라 이름이 정해진것에 반하여
의미에 따라 정해진 유형입니다.
. 미래의 실현가능성이 희박할 때
If S should R ~ , S will(would)/can(could) R ~
>> If it should rain tomorrow , sports day would be postponed
.. 내일 비가 온다면 (안오겠지만) 운동회는 연기될 것이다.
. 실현될 확률이 0에 가까울 때
If S were to R ~ , S would/should R ~
>> If I were to meet Son Naeun , I would feel like I'm in heaven
.. 내가 손나은을 만난다면(만날 일 없지만), 나는 천국에 있는 기분일 것이다.
* 혼합가정법 ( ~했다면 ~할텐데... )
과거의 일이 현재의 영향을 주는 경우입니다.
설명을 이래 하니 가정법 과거가 아닌가 싶지만 가정법과거는 현재의 상태나 상황의 반대를 가정한 것이고 지금 상황은 과거의 일이 영향을 주는겁니다.
If S + had pp ~ , S would/could R ~
가정하는건 과거의 반대와 현재의 반대이므로
종속절은 과거완료, 주절은 과거가 되고 있습니다. ( [2] 설명참고 )
>> If I had seized the opportunity, I would be a rich
.. 내가 그 기회를 잡았더라면 난 부자일텐데..
요번 포스팅은 이걸로 마칩니다.
다양한 가정법이 있는데요. 다음번에 이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.